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

말초신경병증 말초신경장애 알아보기

by 꿈꾸는집시 2023. 11. 6.
반응형

 

 

말초신경장애 말초신경병증 신경병증성통증 여러가지로 일컬어지는 이 통증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증상에 따라 근골격계 통증과 신경병증성 통증의 양상으로 구분이 됩니다. 근골격계 통증은 붓거나 맞은것 같은 통증이 특징이며 신경병증성 통증은 저리거나 찌르는듯 하거나 찌릿찌릿 전기오는 듯한 느낌의 통증이 특징입니다. 신경병증성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그 원인을 찾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말초신경병증이란

인체에는 뇌와 척수로 이루어진 중추신경계가 있고, 이 중추신경계에서 뻗어져 나와 얼굴이나 팔 다리등에 분포하는 말초신경계가 있습니다. 이 말초 신경계에 문제가 생겨 나타나는 병을 총칭하여 말초신경병증 혹은 말초신경장애라 합니다.

 

 

말초신경병증 ( 말초신경장애 ) 의 진단

말초신경병증은 눈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신경과 전문의의 진찰과 의학적 판단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말초신경의 기능을 확인하는 여러가지 검사를 통해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신경외과에서 가장 흔하게 시행하는 검사로는 근전도검사와 신경전도검사를 들 수 있습니다.

  • 신경전도검사 : 약한 전류를 말초신경으로 흘려보내고 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파형을 분석해서 신경기능을 평가합니다
  • 근전도검사 : 근육에 미세침을 삽입하고 거기서 얻어지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해서 근육상태를 평가합니다.

 

말초신경병증 ( 말초신경장애 ) 의 원인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말초신경병증은 눌리는 압박이나 외상과 같은 외부적 요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고 당뇨와 같은 전신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음주 흡연이나 항암제와 같은 약물의 독성 때문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며 그 외에도 길랑바레 증후군과 같은 경우에는 면역반응 이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말초신경병증 ( 말초신경장애 ) 의 증상

말초신경에는 운동신경 감각신경 자율신경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다양한 말초신경병증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감각신경성 증상으로는 화끈거리거나 찌릿찌릿 저리는 느낌 또는 시린 느낌등의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 감각의 기능이 떨어져 내 피부 같지 않은 얼얼함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운동신경성 증상으로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이 근력의 저하이고 ㅏ그외 근위축 근육떨림 근경련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병증 ( 말초신경장애 ) 의 치료방법

말초신경병증의 1차적 치료로는 우선 통증을 없앨수 있도록 통증약을 사용합니다. 말초신경병증의 진통제는 우리가 알고있는 타이레놀이나 NSAIDS 등 일반적인 진통제와는 다릅니다. 비교적 장기간 복용해야 하며 서서히 복약을 줄여야 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말초신경병증의 원인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가지 치료방법이 있을수 있는데요. 손목터널증후군이나 신경뿌리병 같은 경우는 수술까지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질환은 전신질환이니 만큼 당뇨를 조절하는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며 중요합니다. 길랑바레 증후군이나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신경병증 같은 경우에는 면역억제제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대략적인 말초신경병증에 대해 가볍게 알아봤습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좀 더 깊이 알아보려 합니다. 말초신경병증의 원인중에 하나인 당뇨로 인한 발생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나 관리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반응형